무주택 청년 저렴하게 전세 구하기 주택도시기금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VS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조건,금리,한도 차이점

반응형

목차

    무주택 청년 저렴하게 전세 구하기 주택도시기금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조건, 금리, 한도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VS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이번에 친구가 버팀목 전세대출을 받는다 하여 알아봤다.

    사실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과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 나누어져 있는지 몰랐다.

    한도가 2억이라길래 응? 수도권 1.2억 원이라던데..?라고 던졌던 나란 바보

    그래서 안 헷갈리려고 같이 알아보니까 차이점이 있었다.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위 두 이미지를 보면 알겠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나이, 예비세대주 가능여부, 금리, 한도 였다.

    이렇게 보니까 대출 기간 빼고는 전부 차이가 난다.

     

    반응형

    대출 대상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순 자산가액 3.61억 원 이하

    • 무주택 세대주 (예비세대주 포함)

    • 대출 접수일 기준 만 19세 ~ 만 34세 이하의 세대주(예비세대주 포함)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의 5% 이상을 지불한 자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 순 자산가액 3.61억 원 이하

    • 무주택 세대주

    •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의 5% 이상을 지불한 자

    대출접수일 현재 민법상 성년인 세대주(대출실행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세대분가 또는 세대합가로 인한 세대주 예정자 포함)

     

    대출 한도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한도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한도

    수도권, 지방 상관없이 아묻따 2억 원이 최고한도다.

    물론 전세자금의 80% 이내로 가능하다.

    전세금이 2억이면 대출은 1.6억 원까지 가능하단 소리다.

    하지만 만 25세 미만 (만 19세 ~ 만 24세)의 단독 세대주는 1.5억 원 이하로 한도가 정해져 있으나,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보단 한도가 많이 나오는 건 펙트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한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한도

    위에서 봤던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한도의 조건보다 딱 보기에도 뭔가 많은 걸 볼 수 있다.

    신규계약을 보면 일반가구는 수도권기준 1.2억 원 & 전세금액의 70% 밖에 받을 수가 없다.

    일반청년들은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 유리한 이유기도 하다.

     

    반응형

    대출 금리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금리

    • 연 1.5% ~ 2.1 %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소득별 금리

    소득에 따라서 금리가 조금씩 변동된다. 최저 1.5%라고 하지만

    아마 청년 중에는 두 번째 구간인 2천만 원 초과 ~ 4천만 원 이하가 많지 않을까 싶다.

    그럼 대부분 연 1.8%의 금리인 셈이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금리

    • 연 1.8% ~ 2.4%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금리

    사진에서도 바로 티가 나긴 하지만,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은 금리가 최저 연 1.8%로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최저 금리보다 0.3%가 높다.

    거기다가 소득구간 + 보증금 구간별로 금리가 틀린데,

    연봉 3천의 개인이 1억 2천의 전세자금 대출을 빌렸다고 하면 연 2.2% 금리인 것!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의 최고 금리보다도 높다.

     

    그렇다 보니 만 19세 ~ 만 34세 이하의 청년이라면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보단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 훨씬 더 유리하다.

     

    연간인정 소득 산정 방법

    연간 인정 소득 산정 방법

    일단 연간인정소득 산정 방법은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과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이 같다.

    연 소득 2,800만 원이라고 한다면 2,800,000,000 * 4.0 = 112,000,000원 이 되는 것 

    연간인정소득은 왜 계산하나 했더니 "담보별 대출 한도" 3번에 나와있는데

    채권양도협약기관 반환채권양도 : 연간인정소득 – 본인 부채금액의 25% – 기 기금전세자금대출잔액

    뭐 이것 때문에 계산하나 보다. 이건 나도 잘 모르겠어서 나중에 자세히 알아봐야겠다.

     

    결론

    만 19세 ~ 만 34세 의 연봉 2천 초과의 1년 이상 재직 중인 1인가구 직장인이라면,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말고,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신청해 보자.
    한도도 높고 금리도 더욱 저렴하다. 자세한 대상 확인은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하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loading